- 원발성: 주요우울장애, 양극성장애, 순환기분장애, 지속성 우울장애, 조현병, 적응장애
- 속발성: 갑상샘저하증, 약물 유발 우울증, 뇌졸중
자기소개
오늘 면담내용은 비밀이 보장되니 걱정안하셔도됩니다.
오늘 병원은 본인이 원하셔서 오신건가요? 아니면 주변에서 권유했나요?
O[Onset]
언제부터 기분이 우울하셨나요?
당시에 우울해질 만한 계기가 있었나요?
– 스트레스, 이별/사별
그 이후부터 하루 종일 계속 우울하신가요? 기분이 좀 나아질 때도 있나요?
L[Location]
D[Duration]
불안감이 하루종일 항상 있나요? 아니면 한번씩 왔다 사라지나요?
-> 얼마나 지속되나요?
Co[Course]
우울한 게 점점 더 심해지나요?
Ex[Experience]
이전에도 이런 적이 있었나요?
기분변화가 있기 전 평소 성격은 어땠나요?
C[Character]
잠을 자거나 충분히 쉬고 나서도 피로가 잘 풀리지 않나요?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정도로 불안이 심한가요?
A[Associated Sx.]
마음과 몸 상태에 대해 전반적으로 좀 여쭙겠습니다
MDD:
잠은 하루에 몇 시간 주무시나요? 몇 시부터 몇 시까지요? 중간에 깨시나요?
식사는 세 끼 다 잘 챙겨 드시나요? 체중이 최근에 변하였나요?
매사에 흥미가 없으신가요?
심하게 피곤하고 집중이 잘 안되시나요?
스스로 죄책감이 심하게 들기도 하나요?
우울한 게 너무 심해서 죽고 싶다는 생각까지 하셨던 적이 있으신가요?
→ 자살 계획력/자살 시도력
불안감이 심하신가요?
지금은 우울하신데, 이전에 기분이 평소보다 많이 들떴던 적이 있으신가요?
자신감이 평소보다 넘치고 말도 많아졌던 적이 있으신가요? (r/o 양극성 장애)
요즘 남들은 안 들리는 게 들리거나 보이지 않는 게 보일 때가 있으신가요?
남들이 자꾸 나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는 것 같다고 느끼시나요? (r/o Psychotic symptoms)
최근 추위를 참기 어려워지셨나요? (r/o 갑상선 저하증)
F[Factor]
우울함이 특별히 더 심해지는 상황이 있나요?
기분이 좀 나아지는 상황이 있나요?
(여자만) 최근 출산을 하셨나요? (r/o 산후 우울증)

E[Event]
이전에 심리 검사를 받아보신 적 있으신가요?
이전에 오늘처럼 정신과에서 상담을 받아보신 적이 있으신가요?
건강검진을 받아보신 적이 있으신가요? 결과가 어땠나요?
외[외상력]
과[과거력]
원래 앓고 계시던 다른 지병이 있으신가요?
약[약물 투약력]
혹시 지금 드시는 약이 있을까요? 최근에 먹다가 끊으신 약은 있을까요?
정신과에서 처방한 약 드셔 보신 적 있으신가요?
민감한 질문이지만 중요한 것이라 여쭙습니다. 상담한 내용은 비밀이 보장되니 솔직하게 말씀해주세요.
혹시 각성제/대마 같은 금지된 약물을 투여하셨던 적이 있으신가요?
사[사회력]
직업/스트레스/술/담배/커피/식습관/운동 직업이 어떻게 되시나요? ->스트레스 많이 받진 않으세요?
혹시 술,담배,커피는 하시나요?
술>
일주일에 몇 번 마시나요?
한번 마실 때 얼마나 마시나요?
담배>
얼마나 오랫동안 피웠나요?
하루에 몇 갑을 피우나요?
직업>
직업은 어떻게 되세요?
스트레스>
혹시 최근에 스트레스는 조금 받으셨나요?
식습관>
너무 짜거나 기름진 음식을 많이 드시진 않나요?
식사는 규칙적으로 하세요?
운동>
운동은 하시나요?
-> 일주일에 몇번 정도 하시나요?
가[가족력]
가족들 중에 정신과에서 상담 받아보신 분이 계실까요? → 어떤 진단을 받으셨나요?
여[여성력]
임신 가능성이 있으신가요?
질 출혈이 있거나 질 분비물이 심해지셨나요?
생리 주기는 규칙적이신가요?
P/E
네 알겠습니다.
환자 분 지금까지 말씀해주신 내용 요약할건데 틀렸거나 추가하실 내용 있으시면 말씀해주세요.
[요약]
(손 소독을 시행하며)그러 지금부터 신체 진찰을 할건데 진찰 중에 불가피하게 신체접촉을 할 수도 있고 탈의를 하셔야 될수도 있는 데, 괜찮을까요?

[활력징후] 오늘 진료 받으시기 전에 측정한 혈압, 맥박, 호흡 수, 체온은 정상이셨네요. -> 혈압/맥박 보고 응급 판단.
환자 교육
기분이 가라앉아서 많이 힘드셨겠습니다. 지금 가장 걱정되는 점이 무엇인가요? (대답)
지금 가장 의심되는 질환은 흔히 우울증이라고 알고 있는 주요우울장애입니다. 하지만 갑상선이라는 기관이 잘 기능하지 못해도 우울
해질 수 있어 정확한 진단을 위해 우울증 척도 검사와 피검사로 갑상샘 기능을 확인해 보고 싶은데 괜찮으신가요?
만약 주요우울장애로 진단되면 항우울제로 치료를 하고, 인지행동치료라고 해서 우울에 대처하는 방법을 배워보려고 합니다. 항우울
제는 중독과 같은 부작용이 없으므로 걱정하지 않으셔도 되고, 효과는 2-3주 후에 나타나므로 최소 6개월 정도 지속적으로 약물을
복용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여기까지 이해되시나요?
우울증은 마음의 감기이므로, 치료를 받으면 분명 나을 수 있습니다. 평상시에 주3회 정도 운동이나 산책을 하시면 기분을 좋게 하
는 호르몬이 나와서 기분이 나아지는 데 많은 도움이 됩니다. 가족분들과 대화를 많이 나눠보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마지막으로
궁금한 점 있으신가요?
병원에 오신 것 너무 잘 하셨구요. 혹시라도 나중에 기분이 다시 울적해지거나 자살에 대한 생각이 드신다면 입원 치료의 방법도
있으니 바로 병원에 내원해주세요. 그럼 저희는 검사 결과가 나온 뒤에 다시 뵙겠습니다.
찍어야 한다면: 주요우울장애를 제시한다. 감별 진단으로는 양극성 장애와 갑상샘기능저하증을 제시한다.
[도입] 우울감으로 인해 그동안 마음고생이 정말 많으셨을 듯합니다. 설명드리기에 앞서, 혹시 지금 가장 걱정되는 게 있으신가요?
[진단] 지금 ○○○님께 가장 의심되는 진단명은 ‘주요우울장애’입니다. 흔히 ‘우울증’으로도 알려져 있는 병입니다.
[감별] 하지만 조울증과 같은 이유로도 기분은 가라앉을 수 있으며, 갑상샘기능저하증과 같은 몸의 병 때문에 생기는 문제일 수도 있습니다.
[검사] 정확한 진단을 위해, 우울척도검사와 다면적 인성검사를 진행해 보실 수 있도록 정신과 상담을 연결해 드리겠습니다. 또한 피를 뽑아 갑상샘기능검사를 진행하려 합니다. 검사를 진행해도 괜찮을까요?
[중간 요약] 여기까지 의심되는 병명과 진단 계획에 대해 설명을 드렸습니다. 이해되지 않는 부분이 있으실까요?
[치료] 우울증은 스스로 낫기 어렵고, 치료를 받아야 하는 병입니다. 뼈가 부러지면 정형외과를 가고 배가 아프면 내과를 가 치료를 받듯, 마음의 병이 있을 때는 정신과에서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오늘 병원에 정말 잘 오셨습니다.
우울증으로 진단될 경우 저희가 우울증 약을 드릴 텐데요, 꾸준히 드셔야 효과가 나타나는 약이니, 당장 효과가 없어 보인다고 끊으시거나, 반대로 증상이 좋아졌다고 해도 곧바로 복용을 중단하시면 안 됩니다. 약을 꾸준히 드시면 증상은 대부분 호전되며, 중독되는 성분이 아니니 약의 중독성에 대해서는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또한 꾸준히 병원에 다니시면서 저희와 상담치료도 병행하시면 증상이 나아지는 데 많은 도움이 됩니다.
(자살 사고가 있을 경우) ○○○님께서 죽고 싶은 생각이 든다는 것은, 병의 증세가 매우 심한 상황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런 경우 잠깐 병원에 입원해 쉬시면서, 상태에 대한 정확한 평가와 치료를 받으시는 것이 좋습니다. 입원을 해 보시겠습니까?
[교육] 가벼운 운동이나 산책은 기분 전환에 도움이 됩니다. 병에서 충분히 회복하기 전까지는, 스트레스를 많이 받을 만한 일이나 직책을 맡지 않으시는 게 좋습니다. 술이나 담배로 인해 우울감이 심화될 수 있으니 끊으시는 것을 추천드리며, 필요하실 경우 금주/금연 클리닉에 연결해드리겠습니다.
[최종 요약 및 마무리] 정리해 보겠습니다. ○○○님은 현재 우울증이 의심되며, 이는 감기나 식중독처럼 치료를 받으면 나아질 수 있는 병입니다. 처방해드리는 약을 꾸준히 드시고, 스트레스 받는 상황은 가급적 피하시면 증상이 많이 나아질 것입니다.
궁금한 점이 있으시다면 편하게 물어보십시오. 없으시다면, 이것으로 진료를 마치겠습니다. 수고 많으셨습니다.
[진검치교재궁]
손씻기
검사 중에 불편하신 점은 없으셨어요? 자리로 들어오시면 설명해드릴게요.
그동안 소화가 오랫동안 잘 안되셔서 많이 불편하셨겠습니다.. 지금 가장 걱정되는 점이 무엇인가요?
->[대답] 이게 갑자기 소화가 안되셔 혹시나 큰 병이 아닐지 걱정될 거 같아요. 제가 지금부터 설명해드리도록 할게요.
[진단]
[검사]
[치료]
[교육]
[재방문]
만약 집에 가셔서 음식을 삼키기 힘들어지거나, 어지럽고, 피를 토하거나 변에 피가 묻어나오거나 검은 변을 보는 경우 응급상황 일 수 있으니, 즉시 병원에 내원해주세요.
[궁금한 점]
마지막으로 궁금한 점 있으실까요? 없으시다면, 이것으로 진료를 마치겠습니다. 수고 많으셨습니다.